본문 바로가기

주식/기업분석

[기업분석]진성티이씨①_기본분석


유럽을 중심으로 한 수소경제가 전세계적 트렌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한국형 그린뉴딜(25년까지 73조원 규모)을 통해 수소경제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했고 최근 그린뉴딜 관련 종목들이 급등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진성티이씨도 이러한 흐름에 올라탄 기업으로 최근 급등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아직 저평가 상태라고 판단, 공부를 해보기로 했다.


코스닥 상장사로 건설중장비 하부주행체(무한궤도) 부품과  수소연료전지 부품 제조/판매업을 주업으로 하는 기업이다.


[진성티이씨 조직도]


기본정보

1975년 토목 건설기계, 철도차량 등의 부품제조업을 목적으로 설립하여 건설중장비 하부주행체 부품 국내 1위 기업.

2000년 7월 코스닥 상장. 최고 16000원선, 오랜기간 5000원~10000원선에서 박스권 형성 : 늘어나는 매출규모 고려시 저평가 심화.

신성장사업으로 수소연료전지 부품을 생산/공급.

최근 5년연속 매출액 증가, 4년연속 영업이익 증가.

최근 5년간 평균 ROE 14.6%, 최근 4개분기 평균 ROE 16.4% 


§건설 중장비 부품

건설 중장비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BtoB 형태.

주요 매출처 : 캐터필러, 히타치, 두산인프로코어, 스미모토, 카토 등.


§수소연료전지 부품

두산퓨어셀향 압력판, 매니폴더 독점공급(BtoB)


산업특성

전방산업인 건설 경기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15년 기준 세계 굴삭기 시장에서 무한궤도형 굴삭기가 93%로 바퀴형 굴삭기 대비 압도적 점유율.

기술집약적, 자본집약적 성격 : 건설중장비 메이커들이 부품 내재화 보단 아웃소싱의 경향을 보인다.

- 메이커별로 부품이 상이하고 맞춤형 주문생산하다 보니 한번 선정한 부품업체와 장기계약하려는 경향 : 진입장벽 높음.

건설중장비 부품 시장은 크게 신규시장과 교체시장(After-market)으로 나뉨 : 진성티이씨는 주로 신규시장에 공급.


수소는 여유 전력의 유용한 저장 매체로써 신재생 에너지의 효과적인 컨트롤이 가능하게 해준다.

세계적으로 저탄소배출을 위해 신재생 에너지 발전을 지원하고 있는만큼 수소 연료전지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증대되고 있다.



SWOT


§ Strength

오래된 업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메이져 건설중장비 메이커들을 주요 고객으로 확보.


[하이라이트 : 진성티엔씨 주요고객]


굴삭기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나타내는 중국(약 25%)과 미국(약 15%) 에 종속 법인과 공장을 두어 빠른 현지대응이 가능한점.

건설 중장비 부품 시장의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음.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두산퓨어셀의 압력판, 매니폴더 독점공급하고 있는점.


§ Weakness

대중의 인기↓ : 건설중장비는 구시대적 산업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떨어짐.

건설중장비 부품업은 경기민감도가 높고 회사의 사업구조가 단순하여 매출 변동성이 큼.


§ Opportunity

코로나 경기부양책으로 중국이 투자를 재개하고 있고 미국도 대선 결과에 관계없이 대규모 투자를 공약으로 하고 있는만큼 건설경기는 좋아질 가능성이 큼.

세계적 추세와 정부정책을 고려할때 수소연료전지의 확장성은 굉장히 큼.


§ Threat

코로나 장기화로 인한 건설경기 악화 가능성

수소연료전지 매출처의 부품 이원화 가능성




진성티이씨의 매출비중은 건설중장비 부품(96.2%), 연료전지 부품(3.8%)이며 안전마진과 성장사업으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마진


§ 건설중장비 부품

상하부 롤러, 아이들러, 스프로킷 및 트랙 스프링 어셈블리로 건설중장비의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진성티이씨 생상 부품]


상하부 롤러(Carrer & Track Roller) : 트랙 모양 유지, 본체 하중 지지, 회전 및 주행 정확 향상

아이들러 : 트랙의 진행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 역할.

스프로킷 : 동력장치에서 트랙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장치.

트랙 스프링 어셈블리 : 지면 충격완화, 트랙 장력 유지.


주고객은 매출비중의 60%를 차지하는 글로벌 1위 업체 캐터필러이고 장기계약(17년~22년) 상태이기 때문에 캐터필러 실적과 진성티이씨의 실적 상관관계는 상당히 높다고 할수 있다. 건설장비 최대 수요처인 중국과 미국의 투자확대가 예견되고 있는 만큼 앞으로의 업황은 개선될 여지가 많다.


성장산업


§ 수소연료전지 부품

회사는 매니폴드와 압력판을 주력 제품으로 하여 두산퓨어셀에 단독 공급하고 있으며 두산퓨어셀은 이를 이용해 연료전지 스택을 생산하고 있다.

- 압력판 : 스택의 상하에서 보호하고 압력을 가하며 200도의 히팅 기능 

  두산퓨어셀의 연료전지는 PAFC 방식으로 액체 인산을 전해질로 사용하는데 액체 인산은 40도에서 응고하므로 히팅을 해줘야함.

- 매니폴드 : 셀의 측면을 보호하며 테프론 코팅 및 불소고무로 내열/내화학성 기능


이 부품들은 2~3년마다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매출이 누적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이다.

현재 두산퓨어셀이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시장의 70%이상을 점하며 시장지배자의 위치에 있는 만큼, 진성티이씨도 동반 수혜를 받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의무 할당제(RPS) 및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등 발전 환경이 잘 조성된점 또한 매우 긍정적이다.



"돈츄의 Super Save"